📚 문제 N ×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다음의 4 ×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가 생성된다. 📝 문제 해결 접근방식 : DFS 💡방문한 지점에서 다시 상하좌우를 살피면 연결된 모든 지점에 방문할 수 있다 💻 코드 package search;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earch_0602_01 { public static int n, m; public static int[]..
📚 문제 동빈이는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갇혀 있다. 미로에는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동빈이의 위치는 (1, 1)이고 미로의 출구는 (N, 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이때, 동빈이가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시오.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 문제 해결 BFS는 시작 지점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차례대로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기 때문에 이 문제는 BFS로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1) 지점에서부터 BFS를 수행(노드를 방문하면 그 ..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 : DFS와 BFS) DFS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1. 인접행렬 : 2차원 배열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를 표현 모든 관계를 저장하므로 노드 개수가 많을수록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낭비된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earch_0519_02 { public static final int INF = 999999999; //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해 인접 행렬 표현 public static int[][] graph = { {0, 7, 5}, {7, 0, INF}, {5, INF, 0} }; ..
구현이란?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흔히 문제 해결 분야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는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어떤 문제가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일까? -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한 문자 단위로 끊어서 리스트에 넣어야 하는 문제 등 또한 프로그래밍 문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지 못했거나, 라이브러리 사용 경험이 부족하면 구현 유형의 문제를 풀 때 불리하다. 📚 예제4-1 ) 상하좌우 여행가 A는 N *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있다. 이공간은 1 *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